[김기모 입시컨설턴트] 해외에서 공부하시는 학생과 학부모님께서는 전공에 맞는 선택과목을 어떻게 구성할지 늘 고민이 크실 것입니다. 경영·경제부터 컴퓨터공학, 의예·약학까지—전공별 우수 세특 사례·추천 과목·해외 커리큘럼(IB/AP/A-Level) 조합·활동 가이드를 한눈에 제시하는 실전 지침이 필요합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전공 선택에 도움이 되도록 무엇을 해야 하고(과정), 어떻게 활동을 입증하며(지표), 무엇을 배웠는지(해석)라는 기준으로 전공별 활동 설계와 선택과목 결정 요령을 정리해 드립니다.
경영·경제|데이터로 설득하고, 현장에서 확장하라
창업 활동의 손익분기점(BEP) 분석부터 산업 이슈의 재무·정책 파급효과까지, 핵심은 정량 근거에 기반한 탐구입니다. 예를 들어 교내 업사이클링 판매 프로젝트를 시장조사 → 전략 → BEP로 연결하고, 수익 일부를 기부하여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까지 논의하시면 설득력이 높아집니다. ‘제로슈거’ 트렌드가 음료시장·제조업·주가·정부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 분석 보고서로 정리하는 방식도 효과적입니다.
- 추천 과목: 심화수학·경제수학, 사회문제탐구·국제경제
- IB·AP·A-Level: Econ·Business·Math(가능하면 HL로 선택)
- EC(비교과): 모의투자, 케이스 대회, 경제 블로그·영상 제작(분석+소통 역량 동시 증명).
미디어·국제|리서치–제작–평가의 ‘폐쇄 루프(closed loop)’ 만들기
미디어 영역은 가짜뉴스 판별 캠페인을 카드뉴스·영상으로 제작하고, 사전·사후 설문으로 인식 변화를 입증하는 폐쇄 루프(closed loop) 구성이 바람직합니다. 국제 분야는 국제 분쟁의 역사·행위자·개입을 비교 분석하고, 모의 UN에서 의제화–토론–합의 도출까지 경험을 확장하시면 좋습니다.
- 추천 과목: 국제관계, 세계시민/도시의 미래 탐구, 영미문학읽기, 미디어 영어
- IB·AP·A-Level: Global Politics·History·English
- 핵심 역량: 비판적 사고, 외국어, 글쓰기·발표.
데이터사이언스·컴퓨터공학·AI|모델의 ‘성능지표’가 곧 이야기다
대표 활동으로는 딥러닝 기반 분리배출 도우미(데이터 수집–전처리–학습–평가–웹 배포)와 CCTV 설치 위치 최적화(공공데이터 분석–시각화–정책 제안)가 있습니다. 이 분야는 무엇보다 정확도·F1·ROC-AUC·MAPE 등 성능지표로 결과를 증명하는 습관이 관건입니다.
- 추천 과목: 미적분·확통·기하·AI수학·정보 /
- IB·AP·A-Level: 상위 난도 수학 + 물리/CS /
- EC: 해커톤, 깃허브 포트폴리오, 온라인 심화 강좌 수료.
- 설계 기준점: 미적분·선형대수·확률/통계로 기초를 다지고, 최소 한 언어(파이썬)를 능숙히 다루며, 신기술을 지속 학습할 것.
생명공학·화학공학·기계공학|실험–설계–검증, 그리고 안전
생명공학은 미세플라스틱의 생태 영향을 채집–노출–성장 저해 관찰로 검증하는 탐구가 유의미합니다. 기계공학은 사용자 인터뷰–CAD 설계–시제품–피드백 개선의 반복 설계가 핵심입니다. 화학공학·기계공학 세특은 Arrhenius 플롯에 의한 활성화에너지 추정, 흡수탑 모델로 전달계수·민감도 분석, PID 제어로 오버슈트 35%→12% 감소처럼 수치와 그래프로 입증되는 보고서를 작성한 사례는 우수사례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 추천 과목: 미적분·기하, 물리Ⅱ·화학Ⅱ·생명과학Ⅱ, 공학 일반 /
- IB·AP·A-Level: Math(가능하면 Further)·Physics·Chemistry /
- EC: 심화 실험, 공학 경진대회, 연구실 인턴·견학.
- 학습 태도: 기초 과학을 깊게, 실험·실습 적극 참여, 융합적 사고로 문제 해결.
간호·의예·약학|근거기반과 윤리, 그리고 공감
의료·보건 계열은 봉사활동이 문헌 조사–현장 인터뷰–프로그램 제안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구성이 바람직합니다. 예컨데, 자폐학생을 돕기위한 봉사에서 유전자 질병에 대한 조사 및 탐구활동으로 이어지며, 이것이 생명윤리법과 연개되어 의료 정책 또한, 많은 사람들을 살려내는 의료분야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라는 것을 깨닫는 사례, 천연물 유래 진통 성분 추출과 작용기전 검토 같은 실험형 활동 등은 전공 적합성을 분명히 보여 줍니다. 세특 문장에서는 근거기반(Evidence-based) 자료를 활용하고 사전·사후 설문으로 효과를 입증하며, 동물실험 윤리·번역연구의 한계 등 윤리·안전을 명확히 적시하시기 바랍니다.
- 추천 과목: 생명·화학 심화 + 확통/미적분 /
- EC: 병원·약국·보건소 봉사, 의학·윤리 독서토론, CPR 교육 이수 /
- 핵심 역량: 높은 학업성취 + 공감·윤리 의식·의사소통.
(정리) 전공 불문 ‘좋은 세특’의 3요소
-
정량 지표: MAE·F1·R²·신뢰구간·f2 등 핵심 수치로 성과를 남기십시오.
-
정성 기록: 문제정의–방법–결과–해석–한계를 한 문단으로 명료하게 요약하십시오.
-
포트폴리오화: 요약 1쪽 + 원본(코드·노트·보고서 등)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하십시오.
Copyright ⓒ ACSA Korea, Inc.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료제공: ACSA 입시컨설팅(ACSA 입시상담 신청 바로가기)
ACSA 입시컨설팅 문의:
- 전화: 070-7918-5577(010-2446-5941)
- 카카오톡: ACSAKorea
- 위챗: ACSAKorea
- 이메일: acsa@acsa-scholarship.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