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를 앞둔 수험생은 언제나 선택 과목과 활동이 전공 적합성과 맞물리는지에 대한 고민이 크다. 본지는 재외국민특례 및 해외 고교 졸업 예정자를 위해 전공군별 우수 세특 사례, 권장 진로선택과목, 해외 커리큘럼(IB·AP·A-Level) 과목 조합, 권장 비교과와 학업 역량 방향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한정된 역량을 핵심에 집중하도록 돕고, 입시 전략의 방향을 세우는 데 참고가 되도록 구성했다.
경영학과, 경제학과
우수 세특 사례
-
기업가 정신 프로젝트: 교내 창업 동아리에서 ‘지속가능한 패션’ 업사이클링 제품을 기획·제작·판매. 시장·경쟁사 분석, 마케팅 전략, 손익분기점(BEP) 분석까지 수행하고 수익금 일부를 환경단체에 기부해 CSR 이해를 드러냄.
-
경제 현안 분석 보고서: ‘제로 슈거’ 열풍이 음료 시장과 설탕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대체 감미료 시장 성장성, 관련 기업 주가·재무제표 분석, 정부 건강정책의 파급효과까지 연결해 정책–경제 상호작용을 해석함.
진로선택과목: 수학(심화 수학Ⅰ·Ⅱ, 경제 수학), 사회(사회문제 탐구, 국제 경제)
해외 커리큘럼 과목 조합
-
IB: Economics(HL), Business Management(HL), Mathematics: AA(HL/SL)
-
AP: Macroeconomics, Microeconomics, Calculus BC, Statistics
-
A-Level: Economics, Business Studies, Mathematics
탐구·비교과: 모의 투자 동아리, 비즈니스 케이스 대회, 경제 블로그/유튜브 운영
역량 방향: 사회 현상을 경영·경제 모델로 해석하는 능력을 강화한다. 통계·데이터 분석 역량을 키우고 토론·캠프 참여로 시야를 확장한다.
미디어학부, 국제학부/국제관계학과
우수 세특 사례
-
미디어 리터러시 캠페인: ‘가짜뉴스 판별법’ 교내 캠페인 주도. 카드뉴스·영상 제작, SNS 배포, 학급 토론회 진행, 사전·사후 설문으로 효과 검증.
-
국제 분쟁 심층 탐구: 카슈미르 등 분쟁을 역사·국가 입장·국제개입으로 분석한 영문 보고서 작성. MUN에서 안건 상정 후 국가 대표 역할 토론으로 외교적 해결책을 모색함.
진로선택과목: 사회(사회문제 탐구, 국제 관계와 국제기구, 현대 세계의 변화), 언어(심화 영어, 제2외국어)
해외 커리큘럼 과목 조합
-
IB: Global Politics(HL), History(HL), English A: Lang&Lit(HL)
-
AP: Comparative Government & Politics, World History: Modern, English Language & Composition
-
A-Level: Politics, History, Sociology, Media Studies
탐구·비교과: 영자신문/방송부, MUN, 외교관·언론인 강연 기획·참여
역량 방향: 국제 이슈에 대한 지속적 학습과 비판적 읽기·쓰기·발표 능력이 핵심이다. 외국어 운용 능력과 논리적 표현을 체계적으로 훈련한다.
데이터사이언스·컴퓨터공학·AI
우수 세특 사례
-
딥러닝 이미지 인식 서비스: ‘쓰레기 분리배출 도우미’ 웹 서비스 개발. 데이터 수집·전처리·학습·평가·배포 전 과정을 주도해 프로그래밍·문제해결 역량을 입증함.
-
공공데이터 기반 정책 제안: ‘학교 주변 CCTV 설치 현황’과 학생 이동 경로 데이터 분석으로 비효율 구역을 도출하고 최적 설치안을 제시. 시각화로 결과를 전달해 데이터의 사회적 가치에 주목함.
진로선택과목: 수학(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인공지능 수학), 과학(물리학Ⅱ, 정보)
해외 커리큘럼 과목 조합
-
IB: Math AA(HL), Physics(HL), Computer Science(HL)
-
AP: Calculus BC, Computer Science A, CS Principles, Physics C: Mechanics
-
A-Level: Mathematics, Further Mathematics, Physics, Computer Science
탐구·비교과: 알고리즘 경시·해커톤, GitHub 포트폴리오, 온라인 심화 강좌 이수
역량 방향: 미적분·선형대수·확률통계 등 수학 기반을 견고히 하고 파이썬 등 1개 이상 언어를 숙련한다. 머신러닝·블록체인 등 신기술에 대한 자기주도 학습이 필수이다.
생명공학·화학공학·기계공학
우수 세특 사례
-
생명공학: 미세 플라스틱의 담수 생태계 영향 탐구. 시료 채취–분리–노출 실험–성장 저해 관찰까지 과학적 방법으로 수행해 연구 기본기를 확인함.
-
기계공학: 3D 프린팅 기반 장애인 보조기구 설계·제작. 사용자 인터뷰, CAD 설계, 시제품 반복 개선으로 공학적 문제해결과 창의성을 드러냄.
진로선택과목: 수학(미적분, 기하), 과학(물리학Ⅱ, 화학Ⅱ, 생명과학Ⅱ, 과학사, 융합과학), 공학 일반
해외 커리큘럼 과목 조합
-
IB: (생명/화공) Chemistry(HL), Biology(HL), Math AA(HL/SL) / (기계) Physics(HL), Math AA(HL), Chemistry(SL)
-
AP: (생명/화공) Chemistry, Biology, Calculus BC / (기계) Physics C: Mech & E&M, Calculus BC
-
A-Level: Mathematics, Physics, Chemistry(생명공학은 Biology 권장)
탐구·비교과: 심화 실험 동아리, 과학·공학 경진대회, 대학 연구실 인턴십·견학
역량 방향: 물리·화학·생명과학의 기초 심화를 전제로 실험·제작 활동에 적극 참여한다. 데이터 해석과 융합적 설계 역량을 현장 문제에 적용한다.
간호학과·의예과·약학과
우수 세특 사례
-
간호/의예: 치매 환자 삶의 질 개선 연구. 문헌·다큐 탐구와 요양병원 봉사·심층 인터뷰를 결합해 정서 지원 프로그램·간병인 교육안을 제안, 공감·윤리 의식을 보여줌.
-
약학: 천연물 유래 진통 성분 탐구. 버드나무 껍질에서 살리실산 추출 실험 설계, 작용 기전 문헌 분석, 간이 효능 검증 모델 고안으로 연구 역량을 증명함.
진로선택과목: 수학(미적분, 확률과 통계), 과학(화학Ⅱ, 생명과학Ⅱ, 보건)
해외 커리큘럼 과목 조합
-
IB: Chemistry(HL), Biology(HL), Math AA(HL/SL)
-
AP: Chemistry, Biology, Calculus BC, Physics 1
-
A-Level: Chemistry, Biology, Mathematics(일부 대학은 Physics 권장)
탐구·비교과: 병원·약국·보건소 봉사, 의료·과학 독서·토론, 응급처치(CPR) 이수
역량 방향: 생명과학·화학 성취도와 함께 공감·봉사·윤리성이 핵심이다. 환자와의 소통을 위한 의사소통 능력을 실천 활동으로 강화한다.
종합
전공 불문 핵심은 문제 정의–데이터·증거 기반 탐구–결과의 사회적 의미 제시로 수렴한다. 교과 심화와 실전 프로젝트를 균형 있게 설계하고, 활동 전후의 변화를 수치와 기록으로 남기는 것이 세특의 완성도를 좌우한다.
Copyright ⓒ ACSA Korea, Inc.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료제공: ACSA 입시컨설팅(ACSA 입시상담 신청 바로가기)
ACSA 입시컨설팅 문의:
- 전화: 070-7918-5577(010-2446-5941)
- 카카오톡: ACSAKorea
- 위챗: ACSAKorea
- 이메일: acsa@acsa-scholarship.or.kr